Backend/SPRING

Spring(3)- 프로젝트 셋팅/Model(DAO,DTO)

creativeDeveloper! 2022. 10. 10. 19:18
728x90

 

오늘은

스프링을 이용해

웹과 DB를 연동을 할것이다..!

DB를 사용하게 되면 이제 Model

쓰게 된다..!

 

DB를 연동하게되면

초기에 할 설정들이 많아서

복잡하다...

 

 

위 그림을 설명해보면

앞에서는 Controller만 사용했다면

이제 Model을 사용하면서

Servie와 DAO,DTO가 나오게 된다.

 

먼저 DAO는

Data Access Object라 해서

DB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TO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이다.

그래서 DTO는 getter 와 setter 만 가진 클래스이다.

 

1. 셋팅..!

이제 스프링에서

DB를 활용하기 위한

설정들을 할것이다.

 

먼저 자바 버전을 

1.8로 변경 해준다.

 

 

그리고

pom.xml에서

설정을 바꿔줘야 한다.

target 파일로 들어가서

11,12 줄에

자바와 스프링의 버전을 바꿔줘야한다.

 

그리고 맨밑으로 내려서

plugin에서 source와 target도 

1.8로 변경해준다.

 

이제 한글깨짐 방지를 할것인데...

web.xml에 들어가 

한글깨짐 방지관련 코드를 추가한다..!

 

 

이제부터는 DB관련 

라이브러리를 추가할것인데

이 라이브러리는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mons-dbcp/commons-dbcp

위 링크에서 가져올 수 있다.

가져온 내용은

pom.xml에 추가될것이다.

여기에 추가하면

maven이 알아서 다운로드해준다고

한다..!

추가할 내용을

어디에 붙일지 잘 확인해야한다.

 

그리고 Servers 폴더에서

context.xml 파일을 부른뒤

 

해당 Resource를 

추가해준다.

 

2. DAO/DTO

 

그 다음으로는

java영역에

controller,dao,dto,service

네개의 패키지를 만들어준다.

각각의 패키지에

클래스를 만든다.

 

이제

DAO 클래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한다.

그래서 DAO클래스에

DB 접속 정보를 준비한다

 

 

이제 HomeController로 이동해준다.

 

HomeService로 이동해준다

home.jsp에서 

msg를 출력해본다.

실행을 해보면

DB에 접속했다는 문구가 뜬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