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님이 간단하게
스프링에 대해 OT를 해주셨는데
네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1. STS = eclipse + spring tool plugin + 여러가지 툴
2. 최신판은 STS4, 우리가 사용한 것은 STS3
- SPRING을 죽이는 추세(STS4는 스프링을 지원하지 않음)
3. STS4는 무엇을 지원? Spring boot
4. 왜 Spring을 배우나?
- 코딩테스트(설정)
- 기존프로젝트
- Spring과 boot는 큰 차이가 없음
우리는
첫번째 플젝은 spring
두세번째 플젝은 Spring boot로
한다고...!
자바의 프레임워크인 스프링 시작!
스프링은 mvc패턴을 아는것이 중요하다
mvc패턴은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데
디자인패턴이란?
설계문제에 대한 해답을 문서화하기 위해 나온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자주사용한다.
패턴은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준다.
디자인 패턴의 주의 사항은
대규모 프로그램개발에 적합
틀에 갇힌 사고방식은 효율성이 낮은 프로그램을 생산하게 된다.
패턴은 사용하는 것보다 차용한다는 생각으로...
mvc패턴은
JSP 마지막에 배운
model2에 관한 내용
web.xml 은 여전히 먼저 읽힌다...
위 그림을 설명하면
요청을 하면 화면이 나와
사용자가 볼수 있는 것이
view 영역이다
view영역에서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그 요청 내용이 controller로 전달되고controller가 요청을 분배해준다.
model로 보내줄때는
model이 업무를 처리하게
보내주고 처리내용을
다시 받아서 view영역으로
해당결과를 보내주면
view 영역에서 볼 수 있다.
model로 보내지 않을때는
controller가 알아서
요청을 처리하고 view영역으로 보내준다.
이제 스프링에서
프로젝트를 만들것이다.
new > spring Legacy Project
로 들어가서 만들어주기~
프로젝트명을 적고
spring mvc Project를
체크해준다.
next를 눌러서
패키지명을 정해준다.
파일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패키지 밑에 있는
Homecontroller.java와
views에 들어 있는
result.jsp와 web.xml이 중요하다.
이 부분은 한글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인코딩 UTF-8로 변경해준다.
xml 파일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정해 줄 수 있다.
이렇게하면
result.jsp 페이지에
msg에 담긴 문구가 나온다.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약간 이런 형태로 이루어져있다라고
보여주는 것.
첫번째 프로젝트처럼
msg에 담긴 문장에 따라 출력이된다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3)- 프로젝트 셋팅/Model(DAO,DTO) (0) | 2022.10.10 |
---|---|
Spring(2)- 사칙연산/Cal(계산기 만들기)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