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ackend 26

Spring(3)- 프로젝트 셋팅/Model(DAO,DTO)

오늘은 스프링을 이용해 웹과 DB를 연동을 할것이다..! DB를 사용하게 되면 이제 Model을 쓰게 된다..! DB를 연동하게되면 초기에 할 설정들이 많아서 복잡하다... 위 그림을 설명해보면 앞에서는 Controller만 사용했다면 이제 Model을 사용하면서 Servie와 DAO,DTO가 나오게 된다. 먼저 DAO는 Data Access Object라 해서 DB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TO는 Data Transfer Object로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이다. 그래서 DTO는 getter 와 setter 만 가진 클래스이다. 1. 셋팅..! 이제 스프링에서 DB를 활용하기 위한 설정들을 할것이다. 먼저 자바 버전을 1.8로 변경 해준다. 그리고 pom.xml에서 설정..

Backend/SPRING 2022.10.10

Spring(2)- 사칙연산/Cal(계산기 만들기)

오늘은 스프링을 이용해 계산기를 만들어보기로 했다..! 위 그림은 HomeController가 home.jsp에서 su1,su2를 oper하는 요청을 받으면 그것을 수행하고 결과를 result.jsp로 보내주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해야할 일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보자 첫째로, 03_Calc라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두번째로는 자바 버전 설정을 1.8로 변경 버전 설정 변경은 프로젝트명에서 마우스 우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 java 1.8로 변경 네번째로는 한글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web.xml에서 삽입할 곳의 위 아래 두줄을 빼고 해당 내용을 추가한다 이렇게 해야 헷갈리지 않게 내용을 추가 할 수 있다.! JSP와 마찬가지로 해당 프로젝트 실행시 가장 ..

Backend/SPRING 2022.10.10

Spring(1)- mvc 패턴

강사님이 간단하게 스프링에 대해 OT를 해주셨는데 네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1. STS = eclipse + spring tool plugin + 여러가지 툴 2. 최신판은 STS4, 우리가 사용한 것은 STS3 - SPRING을 죽이는 추세(STS4는 스프링을 지원하지 않음) 3. STS4는 무엇을 지원? Spring boot 4. 왜 Spring을 배우나? - 코딩테스트(설정) - 기존프로젝트 - Spring과 boot는 큰 차이가 없음 우리는 첫번째 플젝은 spring 두세번째 플젝은 Spring boot로 한다고...! 자바의 프레임워크인 스프링 시작! 스프링은 mvc패턴을 아는것이 중요하다 mvc패턴은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데 디자인패턴이란? 설계문제에 대한 해답을 문서화하기 위해 나온 방..

Backend/SPRING 2022.10.05

JSP(2)-Session/Login

1. Session session이 제일 많이 사용되는곳이 로그인! session은 사용자가 접속과 동시에 생성되는 내장객체이다. session은 object객체이기 때문에 쿠키보다 활용도가 높다. 위 사진의 index를 보면 세션에 값을 저장,삭제,초기화를 할것이다. 위 사진은 sessionSet.jsp에서 세션에 데이터를 만들어주고 난 뒤 만든 영역이다. 세션에 값을 집어넣기 위해서 setAttribute() 메서드를 사용했다. 세션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끊어지기때문에 interval 메서드로 세션에 수명을 주었다. 그리고 index로 응답하기 다시말해, 세션 속성값 저장을 누르면 name이 세션에 저장되어 index 페이지로 돌아간다는 뜻! 삭제는 removeAttribute() 메서드를 이용하면..

Backend/JSP 2022.10.04

JAVA(6)- 자바의 4대 특징(4)_ 캡슐화

자바에는 접근제한자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특정 부분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렇게 접근제한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특정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함인데.. 이게 무슨 말이냐면..!! 위의 사진과 같이 적재적소에서 4개의 접근제한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숨기거나 노출시키겠다는 뜻 위의 표를 보면 private를 사용하면 해당클래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타클래스에서 private로 선언된 변수나 메서드를 가져와서 사용해야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때 나오는 개념이 getter와 setter이다. 다이어그램으로보면 위와 같다. 이제 코드로 살펴보면 Computer라는 클래스에 파워, 팬 속도, 온도 세 가지 변수를 private로 만들었다. 근데 이것을 메인클래스에서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파워는 ..

Backend/JAVA 2022.10.03

JAVA(6)- 자바의 4대 특징(3)_ 추상화(추상클래스,추상메서드)

추상화라는것은, 공통되는 특성을 추출 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해 단순화 시키는 것이다. 즉, 다시말해 추상화를 통해서 규격을 만드는 것! 1. 추상 클래스란 위에서 설명한 규격을 한데 모은곳이 추상 클래스가 되는데 추상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외에는 객체화를 할 수 없다. 여기서 또 상속의 개념이 나온다..! 그래서 추상클래스의 생성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속된 자식 클래스에서 호출해야 한다. 다이어그램으로 위의 그림처럼 나타낼 수 있다중요한 것은 'abstract' 라는 추상의 표기 를 해줘야 한다. 클래스를 만들때, abstract에 체크를 해주면 된다. 이번에도 상속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관계이기 때문에 부모클래스인 Mammal 클래스먼저 생성해줘야한다. 그리고 Mammal을 상속받는 Person 클래..

Backend/JAVA 2022.10.03

JAVA(6)-자바의 4대 특징(2)_다형성

다형성은 상속을 받는다는 전제하에 발생하는 개념이다. 같은 부모를 가진 자식들은 첫째든, 둘째든, 셋째든 각자의 집을 갖고 있으면서도 부모의 집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다형성을 사용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하나의 부모 타입을 활용해 왔다갔다 할 수 있다. 그래서 프로그램적으로보면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코드로 보면 아래와 같다. Mammal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Cat 과 Dog 클래스가 있다. 이 두 클래스는 birth를 오버라이드 했다. 다형성을 활용해서 Mal 클래스를 객체화 시키고 mal이라는 참조변수를 이용해 상속받은 Dog클래스를 객체화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므로써 부모의 메서드와 오버라이드한 birth 와 eat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형변환은 두가지 유형으로 나..

Backend/JAVA 2022.10.03

JAVA(6)- 자바의 4대 특징(1)_상속, 오버라이드

상속의 개념은 나에게 없는 것을 부모에게 물려 받아 원래 내 것 처럼 사용 하는 것을 의미 한다. 그렇다면 상속을 왜 할까? 첫번째 이유는 code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특히나 남의 코드를 가져와서 부품처럼 쓰는 자바에게는 매우 중요한 특징중 하나! 상속을 할때에는 extends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데 확장이라는 뜻이다. 다시말해, 상속을 통해 기능, 분류의 확장을 하겠다는것! 예를 통해보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포유류'는 체온이 일정한 '항온동물'이면서 척추가 있는 '척추동물'이고 결국엔 '동물'에 소속된다. 상속의 특징을 보면 첫번째는 하나의 클래스만 상속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말을 위의 그림을 통해보면 사람은 포유류에 상속되면서 동등한 위치의 분류에 있는 조류에는 상속 될 수 없다는 뜻이다. ..

Backend/JAVA 2022.10.02

JAVA(0) - Runnable Jar File 실행하는 법

이번에는 자바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CMD에서 실행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파일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거나, 구조 공개가 꺼려질 경우는 jar 로 만들 수 있다. 실제로 강사님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하셨으니 알아두면 좋은듯.! 먼저, 환경변수 설정을 바꿔야하기때문에 Build path로 들어간다. 그리고 JRE버젼을 더블클릭해서 만약 11로 맞춰져 있지 않다면 11로 바꿔준다 환경변수를 설정했으면 이제 내보내고자하는 프로젝트를 우클릭-> export-> JAVA-> Runnable jar file을 선택한다. 만약에 Export destination에서 저장 위치를 C드라이브로 지정하고자 한다면 , 이클립스 실행시 아이콘 우클릭하여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해서 열..

Backend/JAVA 2022.10.01

JSP(1)/톰캣 환경설정/ scriptlet

우리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을 JAVA 로 구현 해 보았다. JAVA 로 이를 구현하기엔 코드가 복잡하다. 그래서 우리는 간단하게 Web 을 처리 할 수 있는 Script 언어인 JSP 를 사용 한다. 그리고 JSP 를 JAVA 코드로 자동 변환 해 주는 것이 WAS 인 TOMCAT 이다. 톰캣을 키고 있으면 포트번호를 사용해 옆사람 ip로 들어갈수 있다. 마리아 db의 경우 포트번호는 3301 그래서 톰캣의 역할을 정리해보면... * 톰캣의 역할 1. 웹서버의 역할 2. JSP를 통해서 자바로 번역되는 역할을 톰캣이 해준다. 이제 JSP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순서는 다음과 같다..! Dynamic Web Project → New Runtime → Apache Tomcat v9.0 → (cre..

Backend/JSP 2022.10.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