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Javascript

(1) 자바스크립트 - 정의 / 데이터타입

creativeDeveloper! 2022. 11. 6. 22:57
728x90

1. 역사

자바스크립트를 만든이는 

이 언어를 만드는데 10일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만든 이유는 넷스케이프때문이다.

넷스케이프를 사용할 당시에는 

html,css밖에 없었기때문에

개발자들은 넷스케이프를 좀더 

active하게 만들고 싶었고

그래서 새로 고안해낸 언어가

자바스크립트이다..!

 

2. 특징

(1) 프론트로 쓸수 있는 유일한 언어

 

(2) 모든 브라우저에 내장되어있어서

따로 프로그램을 깔지 않아도 된다.

ex) 파이썬, 자바..

 

(3) html,css,javascript의 관계성

브라우저를 여는 것은 html이고,

html이 css와 javascript를 가져온다. 

=> 다시말해 html은 접착제 역할을 한다.

 

(4)  html,css,javascript를 브라우저에서 확인할때

개발자도구(F12)에서

html은 elements
css는 styles
javascrip는 console

로 확인

 

3. const와 let 비교..!

(1) const

const는 constant의 약자로

상수이기때문에 값을 업데이트 

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2) let

let은 나중에 

값을 업데이트 할 경우

사용한다. 

 

이 둘을 구분해서 사용하면

좋은 점이 한눈에

코드의 의도를 파악

수 있기 때문이다.

 

4. null과 undefined 비교..!

null은 그 변수에 아무것도 없다

다시말해,

null은 '여기 값이 없다'

라는 것을 자바스크립트에게

알려주기 위해 null

이라고 표기하는 것이다.

undefined는 어떤 variable이 

메모리는 있는데 값이 주어지지않은 것

그 자체를 undefined라고 한다..!

 

5. 데이터를 정리하는 법..!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번째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리스트들은 

=> arrays 사용!

 const mon="mon";
 const tue="tue";
 const wed="wed";
 const thu="thu";
 const fri="fri";
 const sat="sat";
 const sun="sun";

 const daysOfweek=["mon", "tue", "wed", "thu", "fri", "sat"];

 

daysOfweek 라는

하나의 변수를 지정하고

그 안에 값을 집어 넣으면

한눈에 정리된 데이터들을 

볼 수 있다.

 

컴퓨터는 0부터 숫자를

세기때문에 배열도 0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daysOfweek의 0번째 값은

"mon" 이 되는것이다.

 

두번째로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정보가 담긴

리스트들은 object로..!

 

 const player = {
        name: "sora",
        age: "28",
        fat: false
    };
    console.log(player);
    console.log(player.name);

 

object는 property(속성)를 가진

데이터를 저장해주며, 

property를 불러오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1. console.log(player.name);
2. console.log(payer["name"]);

 

그렇다면

const는 상수라고 했는데

왜 수정이 가능할까..?

 

object 자체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고

 

object의 property를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

 

 

 name이 바뀐것을 알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