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ackend/JAVA 17

자바(6)- 매개변수(기본형/참조형)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갔던 부분 중 하나...!이지만 다시 정리해보기로 했다! 둘의 기본 개념정의는..? 매개변수를 기본형으로 선언하면 단순히 저장된 값만 얻지만, 참조형으로 선언하면 값이 저장된 곳의 주소도 알 수 있기 때문에 값을 읽어 오는 것은 물론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아래의 두 예제를 주기적으로 봐야 할것같다..! class Data { int x; }// Data 클래스 안에 선언된 int형 x 변수 class PrimitivePara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ta d = new Data(); // 참조변수 d를 이용해 Data객체 생성 d.x=10; System.out.println("main() : x =" +d.x); chang..

Backend/JAVA 2022.09.12

자바(6)-Class (변수와 메서드)

1. 변수 선언위치에 따른 변수 종류 class Variables{// 클래스 영역 int iv;// 인스턴스변수(iv) static int cv;// 클래스변수(static 변수) void method(){// 메서드 영역 int lv=0;// 지역변수(lv) } } 1-1. 인스턴스 변수(iv) 클래스 영역에 선언되고,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시 만들어진다. 1-2. 클래스변수(cv) 클래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iv 앞에 static만 붙이면 된다. 클래스 변수의 경우 모든 인스턴스가 공통된 변수를 공유하게 된다. 그래서 한클래스 내에서 모든 인스턴스들의 공통적인 값을 유지해야하는 속성의 경우 클래스 변수로 선언해야 한다. 1-3. 지역변수(lv) 매서드 내에 선언되어 매서드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Backend/JAVA 2022.09.12

자바(5)- 객체 배열

1. 객체배열의 필요성 많은 수의 객체를 다뤄야 할때 배열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그렇다고 객체 배열 안에 각기 다른 객체가 저장되는것이 아니라 객체의 주소가 저장된다. 즉, 객체 배열은 참조변수들을 하나로 묶은 참조변수 배열인 것이다. // 아래와 같이 길이가 3인 참조변수들을 하나의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 Tv tv1, tv2, tv3; TV[] tvArr = new Tv[3] 그리고 각 주소에 값을 저장해주어야 한다. tvArr[0] = new Tv(); tvArr[1] = new Tv(); tvArr[2] = new Tv(); // 이것을 다시 for문을 사용해 바꿔줄 수 있다. for(int i=0;i

Backend/JAVA 2022.09.12

자바(4)- Class(instance의 생성과 사용)

1. 객체와 인스턴스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라고 하며,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결국, 객체=인스턴스 2. 객체의 구성요소(속성과 기능) 객체는 속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을 객체의 멤버라고 한다. 속성-> 멤버변수/특성/필드/상태 기능-> 메서드/함수 public class Tv { //Tv의 속성(멤버변수) String color;//색상 boolean power;//전원 int channel;//채널 //Tv의 기능(메서드) void power() {power=!power;}//Tv를 켜거나 끄는 기능을 하는 메서드 void channelUp() {++channel;}// Tv채널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메서드 voi..

Backend/JAVA 2022.09.12

자바(3)-배열(Array)

1. 배열(Array) 배열은 여러 개의 변수를 하나에 담는 기능을 한다. 배열은 특정 기준 변수[0] 로 부터 얼마나 떨어 졌는가 가 이름이 된다. 배열은 생성시 몇 칸 짜리인지 크기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2. 배열의 선언법 타입[] 변수 ={값1,값2...} String[] names = {“홍길동”, ”고길동”, ”박길동”}; int[] score; score = new int[] {70, 80, 90}; 타입[] 변수 = new 타입[길이]; int[] intArray = new int[5]; 3. 배열의 length 속성 //10개 짜리 숫자형 배열 만들기 int score[]=new int[10]; System.out.println(score.length); //0번방에 100 score[0..

Backend/JAVA 2022.09.12

자바(2) - 연산자/조건문/반복문

1. 연산자 연산자란 컴퓨터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이다. 연산은 피 연산자(Operand)들을 연산자(operator)를 통해 계산 하는 것이다. 연산자에 붙는 항의 수에 따라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로 분류 된다. 1-1. 증감 연산자 2. 조건문 2-1. if (만약에) 두개의 if 조건문을 사용했다. if-else를 사용해 하나의 조건문으로 고칠 수 있다. 2-2) if-else 3) 반복문 - 반복(loop) 문은 단순한 일을 반복 할 때 사용 한다. - 반복(loop)은 “자동화” 를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 반복 역시 “특정한 조건” 이 만족 되어야 반복 된다. 3-1) for 3-2) while int i =1; //while 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지지 않는 경우 ..

Backend/JAVA 2022.09.12

자바(1)- 객체 지향 언어/변수/형변환

1. 객체 지향 언어란? "남의 것을 가져다 쉽게 사용하자!" 라는 아이디어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1-1. 그렇다면 객체란..? 컴퓨터의 입장에서 세상의 모든 사물을 객체로 보는것이다. 예를들어 TV 라는 객체를 객체화 한다고 했을때, TV의 색상, 전원, 채널은 TV의 속성(=멤버변수)가 되고 그에 따른 전원을 켜고 끄는 역할, 채널을 높이고 낮추는 역할은 TV의 기능(=메서드)이 된다. 2. 변수란? 무언가를 담는 컵이다. 담는 용도에 따라 컵의 종류와 크기가 달라 진다. 3. 형변환 1) 작은컵->큰컵(묵시적 형변환) 작은컵에 있는 것은 큰컵으로 가는데 문제가 없음. 2) 큰컵->작은컵(명시적 형변환) 큰컵에 있는 것은 작은컵으로 가려면 넘치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표시를 해줘야함.

Backend/JAVA 2022.09.10
728x90